즐거운 장례식 (인간의 죽음, 장례문화, 그리고 길냥이)

소식 어제 새벽 할머니께서 돌아가셨습니다. 하지만 그 누구도 슬퍼하지 않아요. 집안 사정을 모두 오픈할수는 없지만, 내막을 알고 있는 저는 왜 아무도 슬프지 않은지 알 수 있습니다. 할아버지때와는 너무 대조적인 분위기. 이번 장례식은 꽤나 즐겁습니다. 자세하게는 말씀을 못 드리고 간단하게 썰을 풀자면 그건 잠시 뒤 다시 언급해 볼께요. 인간이 죽어가는 과정 사람이 죽어가는 과정을 한 번 목격한 이후로 저는 죽음에 대해 조금은 무뎌진 것 같습니다. 인간의 수명이 다 떨어지는 과정에도 과학적인 모습이 엿보입니다. 우선 심장과 가장 먼 곳 부터 서서히 살과 근육이 경직되어갑니다. 그렇다면 심장과 가장 먼 곳은 어디일까요? 그렇습니다. 발 입니다. 그렇기에 발부터 금방 표시가 납니다. 엄청 차가워집니다. 그리고 멍이 든 것 처럼 변합니다. 부풀어 오르기도 하고요. 기압 때문이죠. 그렇게 조금씩 심장 가까이... 가까이 몸의 변화는 찾아옵니다. 손도 차가워지기 시작합니다. 임종의 순간을 간접 경험하신 분들은 아마 대부분 병원일 것입니다. 의사 선생님께서는 이런 말씀을 하시죠. "아직 청력은 괜찮으니까 마지막으로 하시고 싶으신 말씀 있으시면 귓가에 대고 말씀하시면 됩니다." 청력은 가장 마지막까지 살아있는 감각 기관으로 잘 알려져 있습니다. 사연은 이렇습니다. 심장이 멈추고 혈류가 끊기면 뇌 세포들이 산소 부족으로 빠르게 손상되기 시작합니다. 그런데 뇌의 부위마다 손상 속도가 다른데 시각이나 운동을 담당하는 영역은 빠르게 기능을 잃는 반면, 청각을 처리하는 뇌줄기(brainstem)와 청각 피질은 상대적으로 더 오래 버티죠. 그렇기에 청력은 인간의 죽음 중 가장 오랜 시간동안 남는 감각이라고 알려져 있습니다. 진짜가 아닌 사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