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하철 계단에서 굴렀는데 한 달 이상 치료받은 썰 (With 찰과상 세균감염에 의한 발목 염증)

뿌에엥~ 하아... 지금 이 글은 여전히 회복중인 단계에서 작성하는 중입니다. 저도 이렇게 오래 갈 줄은 몰랐습니다. 단순 찰과상 + 타박상인줄 알았죠. 사실 지금와서 생각해보면 이건 초등조치가 제대로 안 되어서 일이 커진 경우입니다. 이래서 병원은 여러군데 가봐야 하는 것 같아요. 자자~ 그러면 사진으로 보면서 저도 제 다친 경험담을 공유함으로서 저와 비슷한, 혹은 같은 상황의 환자(?)께서 오랜 기간동안 고생하지 않기를 바라는 마음으로 기록을 남겨보려고 합니다. 2025년 5월 15일 사고 발생 여러분! 바로 말씀 드립니다. 절대로 비 오는 날 슬리퍼를 신고 지하철을 타지 마세요. 저도 이렇게 일이 벌어질 줄 몰랐습니다. 지금 위의 사진에 보이죠? 저 슬리퍼를 신고 지하철 계단을 내려 가다가 그만! 부와아악~ 하고 미끄러져 버렸습니다. 그나마 다행인 부분은 제가 백팩 큰 걸 매고 있었습니다. 그래서 굴러떨어지는 브레이크 역할을 했던 것! 그리고 굴러떨어질때 정신을 바짝 차리고 있었기에 반 바퀴밖에 안 굴렀습니다. 그래서 그나마 이 정도에서 끝났다고 생각해요. 반 바퀴 굴러떨어지면서 '아... 이거 까졌다' 라는 생각이 들었고 정신을 차리고 다리를 보니까 아니나 다를까... 생각보다 심각한 타박상+찰과상이었습니다. 그리고 상당히 욱씬거렸죠. 곧바로 후회가 밀려왔습니다. 왜 슬리퍼를! 왜 반바지르을!!! 하는 후회가 말입니다. 아무튼 현실은 바꿀 수 없는 것! 이 상황을 어떻게든 빨리 해결하기 위해서는 무조건 병원을 가야한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일단 어머니께 상황 설명을 드렸습니다. 왜냐하면 하필 이 날 흰 옷을 입었거든요. 그리고 넘어진 장소가 빗물과 흙에 절여진 아주 드러운 흙탕물이 흥건한 비오는 날 지하철 계단! 반바퀴 굴렀으니 흰 옷이 온전할 리 없겠죠? 그래서 어머니를 급하게 호출한 것입니다. 갈아입을 옷을 병원으로 갔다 달라고 부탁드렸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