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폰이 갤럭시 스마트폰보다 내구성이 떨어지는 이유 (고장 잘 나는 원인)
왜 그런지 이제 알겠어 현재 저는 중고폰 수리센터에서 근무 중입니다. 이곳에서 수많은 갤럭시 스마트폰과 아이폰을 분해 및 조립을 하고 있어요. 저는 진짜 분해 조립이 천성인가 봅니다. 왜냐하면 몇 시간 동안 하루 왠종일 의자에 앉아서 스마트폰만 분해하고 조립하는데 질리지가 않아요. 매우 좋습니다. 구형 스마트폰부터 최신 스마트폰까지 두루 두루 만져보고 있습니다. 이렇게 수없이 스마트폰을 분해조립 해오면서 깨달은게 하나 있습니다. 아이폰은 어째서 이렇게나 이미지가 좋아진 것인가?! 그것은 다름아닌, 마케팅을 정말 잘 했다라고 결론지을 수 있겠습니다. 사과 마케팅의 성공적인 사례죠. 실제 내부를 들여다보면 진짜 왜 이렇게 비효율적으로 설계를 했지 싶어요. 그에 반해서 삼성 갤럭시 시리즈는 진짜 쫀쫀하게 잘 설계했다는게 느껴집니다. 갤럭시S2가 그냥 호평이 아니었던 겁니다. 이 모든건 설계의 구조에서 완성된 것이라고 강력히 주장하고 싶어지는군요. 아이폰 내부 먼저 아이폰의 내부 모습입니다. 모델마다 다르지만 일단 공통적인 부분을 먼저 말씀드리겠습니다. 아이폰의 경우에는 각 파츠별로 케이스에 별도 고정되어 있는 방식입니다. 또한 메인보드가 매우 오밀조밀하게 뭉쳐있는 느낌입니다. 커넥터 단자가 매우 얇습니다. 그렇기에 저렇게 커넥터 케이블을 모두 체결 후 위에 살포시 얇은 철(?)로 한번 더 얹혔습니다. 얇게 만들어야 했기에 매우 취약합니다. 또 하나의 단점은 나사위에 또 나사를 채결하는 타입입니다. 모든 나사가 그런건 아니고 일부 특정 구간의 스크류가 2중 채결 방식입니다. 이게 상당히 불안정합니다. 왜냐하면 1단 나사가 부실해지면 그 위에 고정되어있는 두번째 나사도 영향을 받기 때문입니다. 다른 스마트폰에서 나사 1개가 풀릴 때 아이폰은 2개가 날아가버리는 것입니다. 그리고 가장 치명적인 문제는 이거라고 생각합니다. 나사가 진짜 작습니다. 위의 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