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 이모티콘 모임 안내 (Feat. 생산적 취미활동으로 자기개발)

이미지
안녕하세요. 친절한효자손입니다. 구글블로거(Blogger)에는 처음으로 이모티콘 동아리 홍보글을 작성하는군요. 저의 주력은 아직까지는 블로그지만 이제 방향성을 슬슬 바꿔볼까 고민하고 있습니다. 주력을 이모티콘 쪽으로 돌리려고 합니다. 중학교때부터 그림 취미를 쭈욱 유지해 왔습니다. 어렸을때는 그야말로 순수한 취미였다가 성인이 되고 생계유지를 해야 하는 위치에 다다른 시점부터 자꾸 그림으로 수익을 바라보게 되더라고요. 아마 저 뿐만 아니라 많은 분들께서 이런 비슷한 생각을 하셨을 것 같습니다. 돈을 생각하는게 잘못된게 아니에요. 어디까지나 개인적 이유인데 제 경우에는 꾸준한 콘텐츠 생산을 위해서는 절대 돈이 개입되어서는 안 됩니다. 그러면 사심이 들어가고 사심이 들어가는 순간 흥미를 잃습니다. 흥미를 잃으니까 당연히 추진력이 제로가 되고요. 이래서 안 됩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꾸준히 그림을 손 놓지 않고 있었던 이유는 너무 아까웠기 때문입니다. 몇 개 안 남은 개인 재능 중 하나였기에 썩힐수는 없었습니다. 그러다가 꽤 오래전부터 알게된 자홍 작가님과 다시 한 번 의기투합하여 이모티콘 모임을 따로 만들게 되고 현재 1년 이상 대전 지역에서 활동을 하고 있습니다. 자홍 작가님은 카카오톡 이모티콘 작품을 20개 이상 등록 완료되어 절찬리 판매중이십니다. 너무 부러울 따름입니다. 카카오톡 이모티콘 시장이 어마무시하게 커져있습니다. 살짝 늦은 감이 있지만 그럼에도 이모티콘 그림을 그리려는 이유는 직접 만든 이모티콘을 카카오톡 방에서 실제로 사용해보고 싶다는 생각이 강하게 들었기 때문입니다. 상상만해도 즐겁죠. 다른 사람들도 내 이모티콘을 사용한다고 생각하니 더 짜릿합니다. 그래서 꼭 만들어보고 싶습니다. 수익은 이후에 생각해 볼 문제입니다. 지금 블로그를 운영하는 마음과 비슷합니다. 글 자체에 흥미를 가지고 꾸준히 작성한다면 그 결과가 애드센스로 돌아오는 것 처럼요. 이모티콘 또한 작품 활동 자체를 즐기고 꾸준히 그리다보면 승인이라는 결과를 얻게 되고 그것이 또 수익으...

외장하드 하드디스크 (HDD) 배드섹터 생겼을 때 임시 해결 방법

이미지
요즘은 외장형 저장 장치도 SSD로 환승하는 분위기지만 아직까지 HDD도 현역입니다. HDD를 사용하는 이유는 일단 가성비가 좋기 때문이죠. SSD는 빠르지만 용량 대비 비쌉니다. 집으로 비유하자면 평당 가격이 비싸다는 뜻이 되죠. 반면 HDD는 평당 가격이 SSD보다 월등히 저렴합니다. 대신 속도는 좀 느리고요. 그렇다 하더라도 USB메모리나 SD카드 보다 HDD가 안정적이며 빠릅니다. 그래서 현역으로 쓰이는 것입니다. HDD나 SSD는 사용하다보면 배드섹터라는 녀석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습니다. SSD의 경우에는 배드 셀(Cell) 이라고 부르는게 정확하겠지만 그냥 본문에서는 편의상 모두를 비슷하게 묶어 섹터라고 하겠습니다. 배드섹터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서랍이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배드(Bad)는 나쁜 이라는 의미죠? 그러므로 해석하면 나쁜 서랍이라는 뜻이 됩니다. 즉 데이터를 저장하는 서랍이 망가진 상태를 의미합니다. 배드섹터는 크게 두 가지 종류로 나뉩니다. 1. 물리적 고장 (하드웨어) 2. 논리적 고장 (소프트웨어) 1번 물리적 고장은 가장 흔하게 경험할 수 있는 증상입니다. 외장하드를 떨어뜨려 충격을 강하게 줬을 때, 너무나 오래 사용해서 수명이 진작에 끝났을 때, 너무 자주 사용해서 혹사시켰을 때, 그냥 뽑기운이 없어서 허약한 외장하드를 구매했을 때 등등 기계적 결함 원인은 다양합니다. 아무튼 하드웨어적인 문제는 사실 해결 방법이 없습니다. 물론 임시로 해결할 수 있는 방법은 존재합니다. 본문에서는 이걸 소개해 드리고 있고요. 물리 배드섹터가 있어도 하드디스크 임시로 사용하는 방법 예전에 사용했었던 2.5인치 1TB HDD입니다. 이 녀석은 충격 한 방에 골로 가버리고 말았습니다. 사용 도중에 자꾸 틱틱거리는 소음이 들릴 정도로 누가 봐도 이상이 있다 싶을 정도입니다. 배드섹터를 검사하는 HDD SCAN 유틸리티를 돌려봅니다. 역시 예상대로 빨간색 점들이 많이 검출됩니다. 저게 모두 배드섹터입니다. 물리...

포토샵 Windows Animation 창은 Timeline으로 변경됨

이미지
친절한효자손 취미생활 티스토리의 과거 글을 리마스터하는 공간입니다. 이번에 새롭게 업데이트를 하려는 글은 포토샵의 애니메이션 기능을 활용하는 간단한 GIF를 만드는 내용이었는데 그때 당시의 포토샵 버전은 CS5였습니다. 해당 포토샵 버전에는 Animation 이라는 옵션이 있었습니다. 그런데 지금 사용하는 포토샵 CC 2021 버전을 살펴보니 없더군요. 포토샵 구버전을 사용하시는 분들이라면 지금 포토샵을 실행 후 Window 메뉴를 눌러보시면 Animation 항목이 있는것을 확인하실 수 있으실 겁니다. 이 기능을 사용해서 컬러가 다양하게 바뀌는 GIF 애니메이션을 만든다거나 프레임수가 몇 안 되는 움짤도 만들었습니다. 허나 최신 포토샵 (CC 이상) 상황에서는 Animation 옵션이 사라지고 Timeline이라는 녀석으로 변경이 되었습니다. 사실상 포토샵의 Animation은 이제 애니메이션이라는 별도의 프로그램으로 빠진 상황입니다. Timeline은 현재 애프터이팩트 또는 프리미어 프로에서 볼 수 있는 기능이지요. 포토샵의 Timeline을 실행해보면 과거 구버전인 Animation 창과 비슷하게 포토샵 아래에 나옵니다. 하지만 과거의 Animation때와는 완전 다른 설정들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테스트삼아서 텍스트 레이어를 하나 만들어 보았습니다. 살펴보시면 Transform, Opacity, Style, Text Warp 등의 키프레임을 설정해서 애니메이션 효과를 연출 할 수 있습니다. 허나 제가 원하던 포토샵에서의 애니메이션 설정은 이게 아니기에 이제는 포토샵에서 GIF를 만들 일은 없을 것 같습니다. 왜냐하면 아까도 말씀 드렸듯 이 기능은 애팩이나 프리미어 프로에서 작업하는게 훨씬 쉽거든요. 끝. 어도비 코리아 홈페이지

게임 제작에는 이 두 개의 물리엔진을 빼놓을 수 없다! 유니티 그리고 언리얼엔진

이미지
이 두 개의 엔진을 알게된지도 어언 10년이 넘어가는 것 같습니다. 직업전문학교 때 처음으로 알게된 프로그래밍 엔진입니다. 그때 당시 안드로이드 게임 제작반을 들어갔었고 엉성한 커리큘럼에 제대로 배운건 몇 개 없지만 그래도 이런 엔진이 있다는걸 새롭게 알게 되면서 참 신선한 충격이었습니다. 게임 물리엔진? 저는 당연히 게임이라는 영역은 C언어같은 순도 100% 코딩만으로 완성되는 것이라고 생각했습니다. 하지만 하드웨어가 발전하는만큼 소프트웨어도 변하고 업그레이드가 됩니다. 점점 사용이 어려워지기보다는 쉬워지고 있습니다. 게임 엔진은 생각보다 많습니다. 오늘 안내해드리는 유니티나 언리얼이 이 글을 작성하고 있는 2023년 10월 6일을 기준으로 보면 가장 대표적인 게임계의 양대산맥과 같은 물리엔진인 것입니다. 제가 알기로는 캡콤사에서도 자체 게임엔진을 가지고 있고 검은 사막으로 유명한 펄어비스도 자체 게임 물리엔진을 사용하는 것으로 압니다. 그 밖에도 자사에서 사용하는 자체 게임 제작 프로그램들이 있을 것입니다. 유니티와 언리얼 저는 이 두 개의 프로그램을 아주 맛보기 용으로 잠깐 사용했습니다. 둘 다 장단점이 있습니다. 일단 이 두 개의 물리엔진은 서두에서도 이야기했듯 현재 시점에서 가장 많이 이용되고 있는 게임 엔진 프로그램이라는 것입니다. 따라서 관련 자료도 많고 사용자가 쉽게 이용하기 좋은 환경이라는게 최강 장점이라고 할 수 있겠습니다. 두 프로그램 모두 마켓이라는게 있습니다. 안드로이드 스마트폰에는 구글플레이스라는 마켓이 있고 아이폰에는 앱스토어가 있죠? 그 개념이라고 이해하시면 됩니다. 해당 마켓에는 에셋(Asset) 이라는 개념의 여러 아이템 소스들이 판매가 되고 있습니다. 유료 버전도 있으며 무료도 있습니다. 에셋은 여러 능력자들이 자신의 주특기 카테고리에 대한 작업물을 올려서 판매하고 공유하는 그런 공간인 것입니다. 예를 들어서 제 기준으로 설명드리자면 저는 그림은 어느 정도는 그릴 줄은 압니다. 하지만 프로그래밍은 완전 똥이란...

일러스트레이터 기초! 이쁜 입체 카드 글씨 만들기

이미지
저는 이쁜 글씨를 좋아합니다. 일러스트레이터에서도 이쁜 글씨를 커스텀 할 수 있습니다. 방법은 어렵지 않습니다. 정말 쉽게 입체적인 폰트를 표현할 수 있습니다. 이 방법을 알아두시면 언젠간 요긴하게 써먹을때가 올 것입니다. 그럼 어떻게 만드는지 바로 알아보겠습니다. 일러스트레이터를 실행 후 Ctrl+N을 눌러 새 문서를 엽니다. 문서 크기는 적당히 만드시면 되는데 그래도 잘 모르시겠다면 500px 정사각형으로 만들어서 한번 테스트해 보시기 바랍니다. 이제 새 문서에 텍스트툴을 선택 후 텍스트를 입력합니다. 아무거나 입력하시면 됩니다. 여러분들의 자유로움에 맡기겠습니다. 저는 그냥 "이쁜글씨" 라고 입력했습니다. 전체 선택툴(검정색 화살표 툴)로 텍스트를 선택 후 Object > Expand 로 들어갑니다. Expand 옵션창이 떴습니다. 모두 다 선택된것을 확인 후 OK 버튼을 누릅니다. 그러면 텍스트에서 일반 도형 오브젝트로 변경됩니다. 이 상태에서 한번 더 마우스 오른쪽 버튼을 눌러서 Ungroup을 해줍니다. 사실 꼭 필요한 과정은 아닌데 작업의 편의성을 위해 저는 진행하는 편입니다. 그러면 이렇게 전체선택툴로 글씨가 한 개씩 선택되어집니다. 방금 작업으로 그룹을 해제했기 때문입니다. 이제 오브젝트를 전체선택툴로 모두 선택합니다. 그리고 Object > Path > Offset Path 로 들어갑니다. 그러면 현재 면 색상과 동일한 색상으로 테두리가 생성됩니다. Offset Path 옵션창에 있는 Offset 값을 크게 할 수록 테두리도 두꺼워집니다. 적당히 입력해 주세요. 저는 7px로 입력했습니다. OK 버튼을 눌러 저장합니다. 오프셋 패스가 완벽히 적용되었습니다. 이번에는 방금 적용한 테두리의 색상을 변경하려고 합니다. 왼쪽의 면 색 패널을 더블클릭해서 원하는 색으로 변경해 줍니다. 저는 흰색으로 바꾸겠습니다. 흰색으로 변경 완료했습니다. 전체선택툴로 글씨 안쪽을...

윈도우에 글꼴 설치할 필요없이 어도비 포토샵 일러스트레이터 프로그램에 폰트 추가하는 꿀팁

이미지
이 방법은 윈도우에 폰트를 설치할 필요가 없는 초 간단 꿀팁입니다. 현직에서 사용중인 방법으로 이 방법을 사용하면 시간도 절약될 뿐더러 운영체제가 무거워지지 않습니다. 아시다시피 폰트를 윈도우에 설치하면 할 수록 OS가 무거워집니다. 폰트가 한두개면 상관 없지만 몇십개 이상의 폰트를 별도로 사용해야 하는 상황이라면 얘기가 달라지죠. 이 방법을 사용하면 좋은 장점 또 한 가지는 백업이 쉽다는 것입니다. 솔직히 지금까지 설치된 폰트가 많다면 일일히 어떤 폰트였는지 다 외울 수 없는게 현실입니다. 이 방법은 딱! 본인이 자주 사용하는 폰트 파일만 가지고 다니면서 설치 없이 그대로 해당 폰트를 어도비 프로그램에 인식시킬 수 있는 엄청난 방법인 것입니다. 여러분들은 그저 폰트 파일만 폴더에 잘 모셔두기만 하면 됩니다. 모든 어도비 프로그램에서 사용 가능합니다.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우선 사용하고자 하는 폰트 파일을 Fonts 라는 이름의 폴더 안에 모두 모아놓습니다. Font가 아닙니다. 복수형인 Fonts 라는 이름이여야 합니다. 저는 한글날에 무료로 배포되는 저작권 없는 폰트들만 따로 모아놓았습니다. 확실히 인식이 되는지 보여드리기 위해서 우선 배민체 관련들을 적용시켜 보겠습니다. 어도비 관련 프로그램들은 대부분 64비트 프로그램이지만 아직도 32비트 프로그램도 있습니다. 따라서 아래의 두 경로에 모두 Fonts 폴더를 복사해 둡니다. C:드라이브 > Program Files > Common Files > Adobe C:드라이브 > Program Files (x86) > Common Files > Adobe 두 경로에 모두 Fonts 폴더를 복사하셨다면 이제 어도비 프로그램을 실행시켜서 정상적으로 폰트가 인식되는지 확인해 보시기 바랍니다. 저는 포토샵으로 확인해 보겠습니다. 포토샵 실행 후 우선 배민 관련 폰트가 모두 인식되는지 적용시켜 보았습니다. 아무 이상 없이 배민 관련 글꼴이...

포토샵 자동 액션! 드롭릿(Droplet)을 사용하여 이미지 크기 편하게 변경하는 방법

이미지
지난 시간에 포토샵 액션(Action)에 대한 기본 개념을 배웠습니다. 이번에는 액션 기능을 응용해서 좀 더 편리하게 응용하는 방법을 알아봅시다. 저도 정말 자주 이용하는 기능이거든요. 완전 편리합니다. 이미지를 일괄 변경하거나, 특수한 필터를 여러 이미지에 반복 적용 시킬 때 이 기능을 사용하면 좋습니다. 혹시 포토샵 액션에 대해 잘 모르신다면 아래의 글을 한번 정독 후 본문을 읽어주시면 도움이 될 것입니다. 포토샵 액션(Action) 기능에 대해 알아보자 이제 포토샵 액션에 대해 기본 개념은 인지하셨으리라 생각하고 바로 응용편으로 들어갑니다. 액션을 드롭릿으로 내보내기 일단 자주 사용하는 기능 중 하나가 바로 이미지 가로 사이즈 조절입니다. 즉 이미지 해상도를 설정하는 것입니다. 스마트폰 카메라 성능도 워낙 높기에 이미지 한 장의 크기가 상당합니다. 블로그에서는 굳이 이렇게 고사양 이미지가 필요 없어서 최대한 사이즈를 줄이고 있습니다. 보통 1000px 정도로 해놓으면 적당하더군요. 따라서 이미지를 하나 불러온 후 크기 변환하는 과정을 그대로 액션으로 저장해 두었습니다. 테스트용으로 음식 사진 몇 개를 가져왔습니다. 보시다시피 가로 사이즈가 자그마치 4,000px 입니다. 굳이 이렇게까지 고화질 이미지는 필요가 없습니다. 포토샵 메뉴의 File > Automate > Create Droplet 으로 들어갑니다. Create Droplet 설정 창이 떴습니다. Play 옵션에 있는 Set은 별도로 만든 액션 폴더를 지정합니다. Action에서는 드롭릿으로 만들고자하는 액션명을 선택하시면 됩니다. 저는 가로 크기를 1,000px로 변경하려하니 이와 관련된 액션을 선택했습니다. 바로 아래에 있는 Override Action "Open" Commands 설정에 체크를 합니다. 이 설정에 체크를 해야 오류가 생기지 않습니다. 왼쪽 상단에 있는 Choose 버튼을 눌러 드롭릿.exe 파일을 저장할...

일러스트레이터 이미지 자동 패스 따기! (백터화) Image Trace (이미지 트레이스) 사용 방법

이미지
우리들이 컴퓨터에서 쉽게 접할 수 있는 이미지 파일들은 대부분 비트맵 방식입니다. 레스터 이미지라고도 하는데 도트 하나 하나를 찍어 커다란 이미지가 되는 방식입니다. 그래서 고용량, 고화질일수록 이미지 파일 크기가 커집니다. 레스터 이미지와 대조되는 개념은 벡터 이미지라는 것입니다. 벡터 이미지는 점과 점을 인식해 선을 잇는 방식입니다. 보통 벡터 이미지는 회사의 로고, 텍스트, 아이콘을 표현할 때 많이 사용하는 방식입니다. 어도비 일러스트레이터는 벡터 이미지를 생산하는 대표 프로그램이라고 할 수 있겠습니다. 수 많은 비트맵 이미지들을 벡터 이미지로 변형하는것도 가능합니다. 버튼 하나만 누르면 순식간에 벡터 이미지로 변환됩니다. 일러스트레이터의 Image Trace (이미지 트레이스)라는 기능을 이용하면 간단하지요. 그럼 빠르게 방법을 알아보겠습니다. 일러스트레이터를 실행합니다. 저는 고양이로 한번 이미지를 깨보겠습니다. 이미지는 그냥 드래그해서 넣으면 자동으로 들어갑니다. 이미지를 선택 후 Alt 키를 누르면서 드래그하면 복사됩니다. 복사된 오른쪽 이미지를 한번 이미지 트레이스 해보겠습니다. 선택 후 위의 메뉴를 보시면 Image Trace라는 버튼이 있을겁니다. 하지만 아직 누르지는 마세요. 오른쪽에 보시면 작은 아래 화살표 아이콘이 있는데 눌러보세요. 그러면 다양한 변환 옵션이 보일겁니다. 위쪽일수록 높은 퀄리티의 변환이며 아래로 내려갈수록 저렴해지는 퀄리티 변환입니다. 저는 High Fidelity Photo 를 사용하겠습니다. 아무래도 가장 높은 퀄리티로 변환해서 살펴보면 대충 아래쪽 퀄리티는 어느정도 예상할 수 있으니까요. 이미지를 백터로 변환한 결과입니다. 큰 차이가 없음이 느껴지십니까? 왼쪽이 원본, 오른쪽이 이미지 트레이스가 끝난 벡터 이미지입니다. 이미지가 클 수록 변환하는 시간이 더 소요됩니다. 하지만 아직 완벽하게 패스 따기가 완료된건 아닙니다. 이 상태에서 한번 더 익스팬드를 해줘야 합니다. 이미지 선택 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