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벨이 창작인 게시물 표시

블로그에 개인의 생각과 감정, 경험이 담긴 일기를 써보자

이미지
이제 블로그는 정보 전달의 목적성이 사라지기 시작했습니다. 챗GPT에게 한 방에 밀려버렸어요. 정보는 AI에게 물어보면 바로 데이터 수집 후 거의 정답에 가까운 답을 순식간에 받을 수 있습니다. 그런 세상이 되어버렸어요. 키보드로, 또는 음성으로 손쉽게 누구나 정보를 습득할 수 있습니다. 그것도 단 시간에 말입니다. 미야자키 하야오 씨가 최근 현타를 많이 느낀다는 인터뷰를 보았습니다. 그도 그럴것이 그가 몇날 며칠을 고민하고 고민하면서 만든 애니메이션의 단 4초 분량을 AI는 그냥 순식간에 만들어 버리니까 현타가 올 수 밖에 없어요. 무언가를 고생 고생하면서 얻은 결과를 타인이 그 방법을 순식간에 카피에 비슷한 결과로 만든다고 가정해 본다면 진짜 힘 빠지고 황당하며 화도나고 분한 감정이 들 것입니다. 지금 AI 시장이 온라인 검색을 크게 변화시키고 있습니다. 이제 정보의 가치가 거의 사라졌습니다. 널린게 정보인데다 챗GPT같은 AI에게 그냥 질문만 던지면 알아서 물어와주기에 사용자는 그저 질문만 잘 던지면 되며, 설령 이상한 답변을 물어다 주어도 재질문을 통해서 다시 정보를 습득하면 됩니다. 왜 AI가 크게 인기가 상승했는지는 바로 이 부분에서 나오죠. 바로 편리한 접근성입니다. 또 하나가 시간 단축입니다. 일이 이렇게까지 발생하게된 배경에는 품질이 떨어지는 블로거가 엄청 많았던것도 원인이라고 생각합니다. 아시는 분들은 아시겠지만 네이버 포스트 밈 이라는게 있습니다. 제목에는 마치 뭔가를 알려줄 것 처럼 적어두고서는 막상 들어가서 읽어보면 알맹이는 온데간데 없고 그냥 헛소리만 하고 오늘의 포스팅을 마친다는 내용이 그것입니다. 딱 지금의 블로그 현실을 정확히 꼬집고 있습니다. 때문에 사람들은 블로그 검색의 신뢰를 이미 잃어버렸어요. 안 믿어요. 또한 광고글들이 많은 것도 원인 중 하나입니다. 여러 광고가 있겠지만 대표적으로 체험단이 있습니다. 이 체험단을 목표로 블로그를 시...

친효컬럼 - 글쓰기 소재는 이미 쌓였고 래퍼런스만 하면 되는데... 난 천상 블로그 크리에이터인가보다

이미지
인트로 이미 티스토리 블로그에 글이 쌓여있고, 그 글들 중 유행을 타지 않고 가치 있는 강좌글들만 꾸준히 작성해도 지금의 이 구글블로그는 금방 승승장구를 할 것입니다. 마치 초등학생의 백과사전같은 느낌일까요? 참고서적이 있으니 거의 배껴서 쓰면 만점은 따 놓은 기정 사실인데 이걸 제가 안 하고 있습니다. 귀찮은게 사실이긴한데 사실 귀찮은 감정보다 선행되는게 있습니다. 그건 아래와 같습니다. 이미 작성한 주제에 대한 재탕은 재미가 없음 그렇습니다. 저는 무에서 유를 창조해내는걸 좋아합니다. 지금 이 글 처럼요. 이 글은 친효컬럼 시리즈지만 주제는 지금 이곳 구글 블로거(Blogger)에 처음 작성하고 있습니다. 생각나는대로, 머리에 떠오르는대로 그대로 날것의 문장을 하나 하나 타이핑하고 있는 상황입니다. 전 이게 너무 재밌어요. 이미 있는 내용을 작성하는건 진~짜 하나도 재미가 없어요. 재미가 없으니까 글쓰기가 싫어집니다. 이게 악순환이 되는 것입니다. 이런 성향 때문일까요? 때로는 짜깁기글을 꾸준히 작성하시는 분들이 오히려 대단해 보일때가 있습니다. 제가 그런 성격이었다면 지금 이 구글 블로거는 하루 방문자 2천명 이상을 진작에 만들었을거에요. 티스토리글을 열심히 짜깁기해서 새로운 글로 만들어내면 되니까요. 이보다 쉬운건 없죠. 짜깁기 너무 노잼 근데! 왜! 이렇게! 쉬운! 짜깁기를! 저는 어째서 안 하게... 아니, 못 하게 되었을까요? 생각해보면 저도 초창기 블로그때는 짜깁기를 했습니다. 생각해보니 그때 짜깁기를 했던 이유는 반대로 창작이 되지 않았기 때문입니다. 즉 블로그 글 쓰기 방식이 짜깁기 뿐이었던거죠. 그러므로 블로그를 운영하는 대표 방식 두 개가 짜깁기와 창작이라고 요약 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그리고 이 두개의 글쓰기 특징은 아주 두드러지게 나타나는데 가장 큰 특징은 이것입니다. 1. 짜깁기 : 경험X 2. 창작 : 경험O 흔히 창작은 경험의 산물이라고 이야기하기도 합니다. 즉 본인의 경...